[뉴스페이퍼 = 김준 기자]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와 임동원 전 통일부장관이 공동이사장을 지내는 한반도평화포럼에서 야당의 각성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두 이사장은 성명서를 통해 "남북관계는 다시 과거 냉전시대로 돌아갔다."며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은 실패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정부가 대북정책의 실패를 전 정권에게 전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자신의 실패에 대한 변명도 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정부에 대한 비판 후 두 이사장은 또한 "지금 정부의 태도 못지않게 우려스러운 것이 야당의 태도다."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의 태도를 지적했다.
이들은 먼저 "더불어민주당 통일외교 분야의 책임 있는 인사가 한 방송인터뷰에서 정부의 대북강경정책에 대해 '필연적이며' '비난만 할 수는 없다'고 발언하는 등 야당으로서 정체성마저 의심케 하는 발언을 하였다."고 지적했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17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개성공단 중단 등 강경한 정책을 비난만 할 수는 없다"며 "불법적이고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동을 보면서 계속 화해나 협력만을 주장하면 설 땅이 별로 없다”거나 “북한이 핵과 미사일 실험을 했으니까 당사국인 한국이 그러한 (강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필연적"이라고 말을 한 바 있다.
백낙청, 임동원 공동이사장은 "야당은 ‘선거 승리’도 추구해야 하지만 동시에 ‘수권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국민의당에 대해서도 "햇볕정책이 북의 핵무장을 초래했기 때문에 실패했다는 단정은 ‘원점’을 잘못 잡은 것이다. 야당의 지도인사라면 그간의 남북관계 진행에 대해 좀더 정확하게 인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돈 국민의당 공동선대위원장은 17일 입당 기자회견에서 "김대중, 노무현 정부 때 핵 햇볕정책 실패했고, 이명박, 박근혜 정부 비핵 개방, 신뢰 프로세스 다 실패했다"고 단언한 바 있다.
백낙청, 임동원 공동이사장은 성명서의 말미에서 "야당들은 자신들에게 맡겨진 책무를 게을리한 채, 정부의 왜곡과 허위를 사실상 수수방관하고 있다. 오히려 일부는 그를 합리화해주는 발언으로 국민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두 야당이 지금의 비상국면에서 역사와 국민 앞에 남북관계와 통일에 관한 당의 정신이 무엇인지 명확히 밝힐 것을 요구한다. 아울러, 최근의 혼선에 대하여 사과하고 책임 있는 후속조처를 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하는 성명서 전문이다.
성 명 서 평화ㆍ통일의 시대적 사명을 통감하지 못하는 한반도평화포럼은 현재의 한반도 위기를 엄중하게 생각한다. 북한은 핵개발을 향해 폭주하고 있다. 남북 평화와 협력의 마지막 거점인 개성공단이 닫혔다. 남북관계는 다시 과거 냉전시대로 돌아갔다. 온 국민의 염원과 각고의 노력으로 만들어온 개성공단이 하루아침에 허물어지는 작금의 현실에 우리는 비통함을 금할 수 없다.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은 실패했다. 이 실패를 두고 여권 일각에서는 과거정부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정권이 교체된 지 8년이 경과한 이 시점에서 정부가 대북정책의 실패를 전 정권에게 전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자신의 실패에 대한 변명도 되지 못한다. 그런데 지금 정부의 태도 못지않게 우려스러운 것이 야당의 태도다. 제1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통일외교 분야의 책임 있는 인사가 한 방송인터뷰(2월 17일)에서 정부의 대북강경정책에 대해 “필연적이며” “비난만 할 수는 없다”고 발언하는 등 야당으로서 정체성마저 의심케 하는 발언을 하였다. 최근의 사태에서 보듯이 박근혜 정부는 자신의 입장을 강변하기 위해 왜곡되거나 심지어 허위적인 주장들도 남발하고 있다. 그리고 취약한 언론환경 속에서 이 주장들이 국민 속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우리는 두 야당이 지금의 비상국면에서 역사와 국민 앞에 남북관계와 통일에 관한 당의 정신이 무엇인지 명확히 밝힐 것을 요구한다. 2016년 2월 18일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