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페이퍼 = 박도형 기자] 2017 제1회 아시아문학페스티벌이 지난 11월 1일부터 시작해 4일 끝을 맺으며 조직위원장 고은 시인과 초청 작가들 중 아프리카 시인이자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월레 소잉카, 제1회 아시아문학상 수상자인 몽골의 시인 담딘수렌 우리앙카이가 언론과 대화를 통해 이번 행사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제1회 아시아문학페스티벌은 세계의 문인들과 국내 문인들을 초청해 광주에 위치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개최된 문학축제이다.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인들과 함께 아시아문학에 대한 강연 및 국내 문인들이 진행하는 낭독회 등으로 축제의 프로그램이 구성되었었다.
하지만 이번 문학축제가 수요일부터 시작됐던 점과 주요 프로그램인 세계 문인들의 기조 강연이 직장과 학교 등에서 주로 활동하는 시간대인 오후 2시에서 오후 6시 사이에 진행되었던 부분, 강연의 내용이 다루고 있는 주제가 “세계”, “문학의 위치와 변화”, “아시아문학과 서구 문학”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어 일반 대중이 참여하기에 다소 버거운 부분이 없지 않아 있었다.

그래서인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초청 문인들의 작품과 사진, 영상을 전시하고 있는 아시아문화광장의 “아시아문학촌”을 전시 관람하는 사람을 보기 힘들었다. 또한 강연과 낭독회 장에 참석한 이들이 국내 문인들이 대부분, 청장년층 참여자를 찾아보기 힘들었으며, 이번 문학페스티벌에 참여한 인원에 대한 통계 또한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대해 본지는 언론과의 대화를 통해 고은 시인에게 “다소 강연의 내용이 무거운 주제, 프로그램 일정이 평일 낮에 진행된 점을 들어 대중적이지 않았다”는 지점과 함께 “조직위원장으로서 내년에 문학축제가 진행된다면 논의해봐야 부분이지 않나”는 질문을 했다.
질문을 받은 고은 시인은 이번 문학축제가 처음으로 진행된 점을 말하며 “규정을 내릴 순 없을 것 같다”고 답하며 “내년에도 그 질문이 유효할 수 있으니 다시 한 번 방문해 확인해주셨으면 한다”는 바람을 내비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