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人] 김유석 배우, “아버지라는 존재가 느껴지는 장면이 있었다”
[영화人] 김유석 배우, “아버지라는 존재가 느껴지는 장면이 있었다”
  • 박도형 기자
  • 승인 2017.12.01 18:25
  • 댓글 0
  • 조회수 183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페이퍼 = 박도형 기자] 그리운 이들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마음을 그려낸 영화 “돌아온다”가 11월 30일 메가박스 동대문에서 시사회를 개최했다.

시사회를 개최한 영화 “돌아온다”는 2015년 종로구 우수 연극제에서 공연되었던 연극 “돌아온다”를 원작으로 한 영화이다. 한적한 시골에 위치한 어느 막걸리 집, 그 막걸리 집에 모인 손님들은 가게에 있는 “여기에서 막걸리를 마시면 그리운 사람이 돌아옵니다”라는 글귀의 힘을 믿으며 그리운 사람을 기다리고 있다.

이 막걸리 집에 서울에서 온 ‘주영’이 등장하고 조용한 분위기였던 가게는 활기를 띠기 시작한다. 영화가 진행될수록 각자가 가지고 있던 그리운 사람에 대한 사연들을 서로가 알아가게 되고, 각자가 가지고 있던 그리움이 좋게든, 슬프게든 해소되는 과정을 영화는 보여주며 누구나 가지고 있는 그리움이란 감정을 감동적으로 풀어낸다.

<영화 "돌아온다"의 시나리오를 보고 많이 울었다는 김유석 배우 사진 = 박도형 기자>

이번 영화에서 막걸리 집의 변사장 역할을 연기한 김유석 배우는 시사회 자리를 통해 “시나리오를 보며 많이 울었다”고 이야기를 전했다.

배우의 말을 듣고서 이번 영화를 제작한 허철 감독도 “시나리오를 보고 나서 첫 만남을 가졌을 때 내 앞에서 펑펑 울던 배우의 모습이 눈에 선했다”고 전하며 시나리오가 담고 있는 그리움의 정서가 묵직하게 가슴을 울린다고 소개했다.

<영화 "돌아온다"의 시나리오를 보고 많이 울었다는 김유석 배우 사진 = 박도형 기자>

허철 감독의 말에 김유석 배우는 “울었다는 이야기를 너무 많이 하는 것 같다”며 허철 감독의 말을 제지하고 울었던 이유를 밝혔다. 우선 영화의 모든 인물들이 갖고 있는 그리움이 “각자가 갖고 있는 사연과 그리움이 해결되는 과정들에 대한 감정이 주체없이 밀려왔다”고 말하며 “누구나 갖고 있는 ‘그리움’의 힘이 아니었을까” 싶었다며 관객들도 똑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고 소개했다.

이어서 배우는 같은 장면을 촬영하면서도 “자주 울컥했다”며 그 과정에 대해 스스로 본인이 물음을 던졌다고 했다. 그리고 한 장면에서 그 이유를 발견할 수 있었다며 변사장이 아버지와 아들을 그리워 하며 “돌짐을 지고서 산에 올라고 돌을 쌓는 장면에서 아버지의 모습을 느꼈다”며 치매로 인해 행방이 사라진 아버지를 기다리는 아들로서의 변사장, 가출한 아들을 기다리는 아버지로서의 변사장의 모습에서 아버지라는 존재의 의미가 묵직하게 다가왔다고 소감을 전했다.

<포토타임을 통해 사진을 촬영하는 김유석 배우 사진 = 박도형 기자>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맺고, 가족이라는 구성원을 묵묵히 기다리며 인내하는 사람의 모습을 그린 영화 “돌아온다”는 오는 12월 7일 개봉한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