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작가회의, 블랙리스트 논란과 의혹 성명서 발표
대전작가회의, 블랙리스트 논란과 의혹 성명서 발표
  • 변종석 기자
  • 승인 2016.10.14 23:15
  • 댓글 0
  • 조회수 192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페이퍼 = 변종석 기자] 예술계 블랙리스트의 존재가 확인되며 여파가 문화예술계 전체를 뒤흔드는 와중에 대전작가회의가 성명서를 발표했다. 대전작가회의는 개성공단 폐쇄, 고현철 교수 투신 등의 사건에 적극적으로 성명서를 발표하고 활동한 바 있다. 이하는 성명서 전문이다.

 

문화예술인의 활동을 억누르는 정부가 검열의 대상이다 

- 블랙리스트 논란과 의혹에 부쳐 

청와대가 지난해 문화예술계에서 검열해야 할 9,473명의 명단을 작성해 문화체육관광부로 내려 보냈다는 주장과 자료가 나왔다. 공개된 명단에는 문화 예술인 9,473명 이름이 올라와 있다. 여기에는 세월호 시국선언, 세월호 정부 시행령 폐기 촉구선언, 박원순 문재인 후보 지지선언을 한 이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른바 블랙리스트 보도이후 검열의 시대를 심각하게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문학예술인들의 정치적 사회적 활동은 헌법이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졌으며, 뿐만 아니라 이러한 활동은 시대를 살아가는 작가들의 상식적 참여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아픔에 동참하고 정치적 지향을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뜻을 보이는 것은 참여민주주의로 가는 하나의 과정이다. 사회의 발전이 시민의 적극적 참여로 성취되었다는 것은 역사적 경험을 통해 잘 알고 있다. 특히 작가들의 현실 참여는 역사적 소명의식의 발현이기에 그 누구도 검열할 수 없는 일이다.

정부는 블랙리스트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지만 의혹과 주장이 제기된 상태에서 그 실체는 정확하게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만일 검열 대상자의 명단을 작성해 관리를 해 왔다면 그 책임은 엄중하게 물어야 할 것이다.

노래로 평화와 반전을 외쳤던 밥 딜런이 노벨문학상을 받는다는 소식과 함께 블랙리스트 보도가 교차하는 것은 암울한 현실이 작가들의 가슴을 억누르기 때문이다. 가만히 있으라는 한 마디에 세월호의 아이들이 세상을 등졌다는 걸 알고 많은 어른들은 미안하다는 말을 했다. 더 이상 죄를 짓지 않기 위해 시국선언을 하고 정치참여에 나서는 것은 작가적 양심을 회복하는 행위이다. 블랙리스트 논란은 작가들에게 가만히 있으라는 억압과 다르지 않다. 

우리는 정부가 표방하는 것처럼 우리나라가 문화융성 국가가 되기를 바란다. 문화예술의 꽃이 검열의 날에 잘려나간다면 우리나라는 문화가 피폐한 국가가 될 것이다. 정부는 이번 블랙리스트 논란과 관련해 의혹의 핵심을 명확하게 밝혀, 정부가 진정으로 문화예술의 발전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바란다.

- 대전작가회의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