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작가회의 기관지 『내일을 여는 작가』(2022년 하반기, 81호)가 출간되었다.
기획 특집으로는 노동문학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조정환은 「문학적 민주주의를 넘어 문화적 공통주의」를 통해 21세기의 노동문학은 노동의 사회적 산포와 인지화, 전 지구적 주권 구성, 노동계급의 다중화와 불안정화, 인지자본주의적 수탈체제의 등장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계급 재구성 속에서 문학적 재구성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따라서 노동자가 지식인화되고 지식인이 노동자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양자를 대립시키는 독법보다는 양자의 실제적 공통장을 구축하는 것과, 제도문학이 암흑문학세계에 한층 더 깊이 다가갈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한다. 송경동은 정리해고와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위한 희망버스 운동을 정리했고, 양기창은 자신의 민주노총 활동과 문학 활동과의 영향 관계를 소개했다. 이외에 성희직은 광부로서 피땀 흘린 노동의 역사와 진폐재해자들의 투쟁을, 조선남은 대구 지역에서 전태일 열사의 복원과 계승 운동을, 김채운은 한광호 열사와 유성기업 노동자들과의 만남을, 표성배는 객토문학회의 활동을, 정세훈은 노동문학관의 건립과 운영을, 김형로는 대우조선 파업 현장을, 전비담은 금속노조 아사히글라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쟁을, 백애송은 플랫폼 노동을 통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문제를 다루었다.
나의 문학론으로는 김준태 원로 시인과 김남숙 젊은 소설가의 단상을 실었다.
신작 시는 김명남, 김문, 김영범, 김준현, 김진희, 마선숙, 문신, 박남원, 박노식, 박재연, 백무산, 신기훈, 유지소, 윤임수, 이면우, 이수진, 이한열, 정완희, 허유미 시인이, 신작 동시는 김영, 박혜선 시인이, 신작 시조는 박희정, 변현상 시인이 발표했다. 신작 소설은 유시연, 채희윤 소설가가, 신작 동화는 강민경 작가가 발표했다. 전국 각 지역에서 활동하는 시인 및 작가들의 진지함과 개성이 돋보이는 작품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호의 부록으로 한국작가회의 회원들 주소록을 수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