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편
박종만
추석엔 보름달인데
송편은 왜 반달이에요?
아버지 털고 일어나시라고
돈 벌러 서울 간
네 누이 연락 오라고
좋은 일로 다 채워지라고
반달 같은 송편이다.
그렇게 어머니의 송편은
한숨이 섞여 빚어졌다.
이번 추석에도
돌아오지 않는 막내 생각에
어머니의 손엔
반달 같은 송편만 뜨겠네.
―『새길』(2021년 가을호)에서

<해설>
어제는 수용자들을 교화시키는 일을 하는 교화사의 시를 소개했으므로 오늘은 형을 살고 있는 이의 시를 한 편 소개해 드리고자 한다. 수용자들의 문예지 『새길』에는 작자가 있는 곳이나 나이, 죄목, 형량 등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다. 1948년 4월 1일에 창간되어 2022년 겨울호로 통권 460호를 기록한 최장수 문예지임에도 외부에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1948년 4월이면 대한민국 정부가 출범하기 전, 미군정 치하일 때였는데 누구의 아이디어로 이 책이 나오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사법부 형정국刑政局이란 곳에서 발간했는데 지금은 사법부 사회복귀과에서 내고 있다.
테마시, 테마수필, 수기, 독후감, 용서의 글, 소감문, 서간문 등 다양한 글이 실리고 있다. 소정의 원고료도 지급이 되고 전국의 모든 교도소와 구치소에 비치되므로 아주 인기 있는 문예지다. 단지 그곳에서만 읽히는 비매품 문예지다.
송편은 반달 모양과 보름달 모양 두 가지가 있는데 이 시에 나오는 어머니는 반달 송편만 빚는다. 반달은 채워지지 않았음을 뜻한다. 어머니는 아버지가 회복되고(병원에 계신 듯) 누이의 소식도 들려와 식구가 조만간 채워짐을 비는 기원의 의미를 담아 반달 송편을 빚고 있다. 시의 화자인 막내는 형을 살고 있으니 역시 이탈한 식구다. 어머니는 이번 추석에도 보름달 송편이 아니라 반달 송편을 만들면서 가족의 모임과 화합과 화목을 기원할 거라고 수의 입은 사내는 생각해보는 것이다.
시 자체의 질적 함량은 높다고 할 수 없지만 감방 구석에 꿇어앉아서 혹은 엎드린 자세로 쓴 시이다. 이 시에는 병 깊은 아버지와 연락 없는 누이에 대한 걱정, 그리고 가족을 기다리는 어머니에 대한 애틋한 정이 느껴진다. 서정시의 사전적인 의미는 내 감정을 언어로 그리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시는 서정시의 본령에 충실히 따른 것이다. 이 시를 써본 것을 계기로 작자는 가족을 더욱 소중하게 생각하게 되지 않았을까. 어머니에게 자랑할 거리가 생겼다.
어머니, 어머니가 송편 빚는 모습을 시로 썼더니 제가 쓴 게 책에 실렸어요. 원고료도 주던걸요. 앞으로 다시는 엄마 속 안 썩일게요. 우리 올해는 송편 같이 빚어요. 이제는 제가 반달 모양으로 빚을 테니까 어머니는 보름달 모양으로 빚어보세요. 이런 말을 할 것만 같다.

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1989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시집 『사랑의 탐구』, 『우리들의 유토피아』, 『생명에서 물건으로』, 『뼈아픈 별을 찾아서』, 『공포와 전율의 나날』, 『아픔이 너를 꽃피웠다』, 『생애를 낭송하다』 『예수ㆍ폭력』 등과 소설집 『길 위에서의 죽음』을 펴냄.
산문집 『시가 있는 편지』, 『꿈꾸듯 미치도록 뜨겁게』, 평전 『마지막 선비 최익현』, 『최초의 신부 김대건』, 『진정한 자유인 공초 오상순』 등을, 문학평론집 『한국문학의 역사의식』, 『세속과 초월 사이에서』, 『한국 시조문학의 미래를 위하여』, 『욕망의 이데아』, 『경남 문인 4인을 새롭게 보다』 등을 펴냄.
지훈상, 시와시학상, 가톨릭문학상, 편운문학상 등을 수상. 현재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